어도비(Adobe) 구독 취소, 위약금 없이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어도비 구독 취소 시 위약금 부과와 불법 라이선스 사용에 따른 법적 책임을 예방하는 방법을 소개 해 볼게요. 실제 사용자들이 겪는 사례를 통해서 위약금 없이 어도비 구독 취소를 하는 방법도 정리 해봤습니다! Adobe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독 가이드!
May 20, 2025
어도비(Adobe) 구독 취소, 위약금 없이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어도비 결제 취소했는데 위약금이 수십만 원이래요… 이게 말이 되나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어도비 (Adobe)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중도 해지 시 예상치 못한 위약금이나 라이선스 관련 법적 이슈로 곤란을 겪고 계세요. 특히 개인이 업무용으로 카드 결제 후 취소하려는 경우, 어떻게 처리할지 애매해지는 상황도 많고요.

이 글에서는 어도비 구독 취소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과 위약금 없이 안전하게 해지하는 방법, 그리고 기업에서 이런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SaaS 구독 관리 팁까지 알려드릴게요. 


목차

  1. 어도비 구독 취소 시 위약금 문제

  2. 어도비 구독 취소 방법

  3. 불법 라이선스 사용의 법적 책임

  4. 스코디를 통한 효율적인 SaaS 구독 관리

  5. 결론 및 추천 사항


어도비 구독 취소 시 위약금 문제

어도비의 Creative Cloud 같은 주요 서비스는 대부분 연간 약정 플랜을 기반으로 요금제를 구성하고 있어요. 문제는 많은 분들이 이 연간 약정 플랜이 '월납 결제'로만 표시되어 있어 중도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연간 약정 월별 청구 플랜을 14일 이후에 취소하면 남은 기간의 50%에 해당하는 위약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많은 사용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으로, 불만을 야기하고 있어요.

어떤 불만들이 있는지 실제 사용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무료 체험하고 어도비 구독을 해지하러 들어갔는데 어도비 결제 취소를 하기 위해서는 위약금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깨달았어요..!

어도비 결제 취소 수수료가 왜 발생했지?
정확히 말하면 제가 구독한 플랜은 연간 플랜이었어요. 사실 취소 전까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어요. 연간플랜을 중도해지 하는거라 남아있는 개월 수의 월별 이용료를 위약금 또는 수수료 개념으로 한번에 납부를 해야한다는 겁니다. 전 약 10만원 수수료를 내야했는데,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싶더라구요.

진짜 억울한 이유는
처음에 구독 할 때 연간플랜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구독했고, [월별 납부]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1년짜리 플랜인 걸 몰랐어요. 물론 구독하기 전에 꼼꼼하게 읽어야하는게 맞지만, 저와 같은 경우가 많다는건, 어도비 측의 애매모호한 설명과 구독 약관 안내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거 아닐까요? 

어도비가 고객 만족을 생각한다면 고객에게 곤란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연간 플랜이라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중도 취소 시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내용을 결제 화면에 직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정정 되어야 할 것 같네요.

이처럼 '월별납부' 라는 단어 때문에 단순 월 단위 구독으로 착각하기 쉽고, 해지 화면에서도 위약금 안내가 충분히 눈에 띄지 않아 많은 분들이 불쾌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참고로, 어도비의 영문 홈페이지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색한 부분 때문에 명확한 명시가 어려웠다고 이해하기엔, 미국 사용자들도 같은 내용으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어요. 어도비는 이러한 위약금 부과 정책을 명확하게 고지하지 않아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로부터 소송을 당한 바 있어요.

위약금 없이 어도비 구독 취소 방법

그렇다면 이 위약금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다행히도 어도비 고객센터 상담원과의 채팅을 통해 사정을 설명하면, 일정 조건 아래 위약금을 면제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어요.

무조건 환불 받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위약금 없이 연간 플랜을 해지한 사람들의 사례들을 블로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보통 많은 분들이 불쌍한 척을 하거나 상담원에게 친절하게 말하거나 하는 등의 현실적인 조언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이런 감정호소 없이 상황을 설명하고 위약금 없이 어도비 구독 취소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순서대로 따라 해보세요!

1.어도비 고객센터 접속 후 하단의 채팅 말풍선 클릭

어도비 고객센터 들어가기
  1. 챗봇 연결 → ‘불만족’ 답변 → 상담원 연결 요청

챗봇 연결하기에서 불만족이라 답하기
  1. 상담원에게 다음과 같이 설명해보세요.

    “연간 플랜이라는 것을 모르고 구독했습니다. 월납이라서 해지해도 별문제 없을 줄 알았어요. 이 내용이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아 위약금에 대한 안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2. 상담원이 '3개월 무료 이용권' 등으로 설득할 수 있어요. 이때,
    “필요 없습니다. 위약금 없이 해지만 원합니다.”
    라고 다시 한번 정중히 요청하세요.

  3. 최종 해지 이메일 확인까지 꼭 완료하세요.
    중도에 멈추면 위약금이 적용될 수 있어요!

포인트는 사용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써주지 않은 어도비의 책임도 있다고 강력하게 말하는 것입니다.

어도비 내부적 메뉴얼 때문인지 꼭, 두 세 차례 이상으로 강력하게 취소 요청을 하는 것이 위약금을 물지 않기 위한 필수 조건 입니다.

영어로 상담원과 의사소통하는데 있어서 참고할 만한 문장도 알려드릴게요!

🗨 상담원에게 상황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문장

Hi, I’d like to cancel my Adobe subscription, but I just found out there’s a cancellation fee.
I wasn’t aware that I signed up for an annual plan – I thought I was on a monthly subscription.

The cancellation policy wasn’t clearly explained when I subscribed, and I didn’t expect to be charged a fee like this.
I believe this is quite misleading, especially since the subscription page emphasized “monthly billing.”

I’ve barely used the service and would really appreciate it if the cancellation fee could be waived.
I hope Adobe can understand and help me resolve this issue without additional charges.


🗨 상담원이 무료 이용권을 제안했을 때 (거절할 경우)

Thank you for the offer, but I’d prefer to cancel the subscription without any additional charges.
I really don’t want the free months – I just want to end the subscription today.

Please cancel my subscription now and confirm that no cancellation fee will be applied.
I would also appreciate a confirmation email showing the cancellation details.

어도비, 불법 라이선스 사용의 법적 책임

개인이야 본인이 감당할 일이지만, 회사는 얘기가 다릅니다. 팀원이 개인 계정으로 Adobe를 구독하고,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 이 경우 회사에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 어도비는 국내에서 법무법인을 통해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 '내부 소프트웨어 점검 요청'이라는 명목으로 우편, 전화, 이메일이 오기도 하며, 법적 조치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해요.

  • 특히 불법 크랙판이 아닌데도 정품 인증 이슈로 의심을 받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요즘에는 퇴사자 계정에서 남은 라이선스가 방치되어 발생하는 문제도 많고요.

기업에서 어도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정품 라이선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라이선스 수를 초과하여 우회해서 사용하는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실제로, 어도비 코리아는 한국 법무법인 다온을 통해 불법 사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법적 책임을 묻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팀원들이 개인 계정으로 어도비 제품을 구독하고 회사 업무에 사용하는 경우, 회사가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는 라이선스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회사에서 라이선스를 관리하는것은 중요한 것은 맞지만, 최근 불법 라이선스 사용으로 어도비 단속 명목으로 우편 공문, 협박, 전화를 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요. 어도비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내용을 겪은 사람들의 불편함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어요.

어도비에 대한 법무법인에서의 우편공문, 협박 사연

어도비 측은 아래와 같은 형식적인 답변으로 대응했지만

계약 정보와 관련한 안내 및 상담은  

사용자분의 개인 정보(예: 어도비 계정, 결제 정보) 확인이 필요 하다보니, 

공개된 게시판 내에서는 도와드리기 어렵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 상담 시간 중에  

Adobe 고객 지원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Adobe 고객지원 (평일 09:00 ~ 18:00, 주말, 공휴일 휴무) 

https://helpx.adobe.com/kr/contact.html (하단 우측 채팅 아이콘 클릭)

또 다른 IT 커뮤니티 클리앙에서는
내부 점검 후, 해당 문의 건에 대해서 무시하는 것을 해결방안으로 많이 제안하고 있었어요. 

IT 커뮤니티 클리앙에서의 어도비 구독 관련 글 내용 반응

법무법인에서 연락오면 내부점검 한번하고 무시하면 됩니다. 내부점검 에서 외부에서 반입된 노트북들 프로그램 상태 한번 확인해주고 그냥 넘어가면 됩니다. 더불어 실제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별다른 예고 없이 경찰이랑 업체관계자 해서 영장들고 옵니다.

이런 내용도 참고하고 알고 있으면 좋겠죠?

스코디를 통한 효율적인 SaaS 구독 관리

그럼 어떻게 효율적이고 한눈에 보기 쉽게 라이선스를 관리할 수 있을까요?

이제 어도비 구독 뿐만 아니라, 다양한 SaaS 툴을 한눈에 보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바로 SaaS 구독 관리 서비스, 스코디 입니다.

스코디는 복잡한 SaaS 구독 환경을 한 페이지로 정리해주는 대시보드를 제공해요.

스코디의 구독서비스 대시보드 화면

🧾 스코디 주요 기능

  • 구독 리스트 정리 (카드 연결만 하면 자동으로 불러와요!)

  • 결제 금액, 구독 주기, 팀별 사용자 정보 매칭

  • 카드별 구독 지출 분류

스코디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올해의 지출총액과 구독리스트

이를 통해 담당자는 “누가, 어떤 툴을, 왜, 얼마나 쓰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불필요한 비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요.

결론 : 어도비 구독도, SaaS 구독도 ‘관리’가 핵심입니다

어도비 구독 취소, 단순히 ‘끊으면 되지’ 수준으로 생각했다가 위약금불필요한 비용, 법적 문제까지 겪는 일이 생각보다 흔합니다.

✔ 연간 플랜이라면 해지 정책을 꼭 확인하세요.
✔ 기업이라면 팀원들의 사용 여부, 구독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세요.
✔ 특히 팀플랜, 개인 계정, 법인카드 사용 등 관리 사각지대에 주의하세요.
✔ 이 모든 걸 쉽게 정리하고 싶다면 스코디에서 한 번에 확인하세요!


📌 지금 우리 회사에서
어도비, 노션, 캔바, GPT 등 어떤 SaaS를 얼마나 쓰고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 지금 바로 스코디 무료 체험으로 확인해보세요! 스코디 무료 체험하기

Share article

01Republic, Inc.